[Linux] RHEL에서 Network Interface가 비활성화 되었을 때 원인과 해결방법
·
■ Error/Linux 오류해결
0. 개요VMWare 환경에서 RedHat Linux 8.8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여 사용하던 도중, LAN이 전혀 인식되지 않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NetworkManager을 restart하여도 증상은 동일하고, reboot을 해 보거나 LAN 카드를 제거 후 다시 인식시켜도 여전히 LAN이 인식이 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해당 증상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1. 분석1.1 NetworkManger 서비스 상태 확인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우선 NetworkManager 서비스가 정상 실행중인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현재 상태는 active (running) 상태로, NetworkManger 서비스는 이상 없이 잘 구동 되고 있었다. 그럼 NetworkMan..
[Windows] Windows 11 작업 표시줄 검색이 되지 않고 먹통인 증상 해결
·
■ Error/Windows 오류해결
0. 개요Windows 11에서 작업 표시줄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였으나, 검색이 되지 않고 키보드의 입력동작 조차 먹통인 증상이 발생하였다. 해당 오류를 해결 해 보도록 한다. 1. Windows Search 서비스 재시작Windows + R 키를 눌러 실행 화면을 띄우고, services.msc 를 입력 후 확인버튼을 누른다. Windows Search 항목을 찾고, 우측 마우스를 클릭하여 다시 시작을 누른다. 2. 파일 탐색기 재시작Windows Search 서비스 항목을 다시 시작 하였으면, 해당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Ctrl + Shift + Esc 키를 눌러 작업 표시줄을 띄우고, 프로세스 → Windows 탐색기 항목을 찾아 작업 다시 시작 버튼..
[MSSQL] 'msodbcsql(숫자)dll이 없어 코드 실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
·
■ Error/DB 오류해결
0. 개요msodbcsql17.dll이(가) 없어 코드 실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면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Windows 에서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이하 SSMS) 를 실행 후, DB 프로파일링을 위해 SQL Server Profiler 을 실행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오류가 출력되며 실행이 되지 않는다. SSMS 를 재설치 하기에는 시간도 꽤 소요되고, 기타 어려운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과 해당 오류가 출력되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원인MS 공식 문서를 참고하면, msodbcsql(숫자).dll 은 MSSQL의 Windows 기반 ODBC 드라이버에 내장되어 있다고 한다. SSMS 설치 당시 누..
[VMWare] A requested power operation is already in progress 오류 해결
·
■ Error/VM 오류해결
0. 개요A requested power operation is already in progress VMWare 을 사용 중, 가상 머신의 전원을 제어하려고 하는데, 상기와 같은 오류가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오류를 해결해보도록 한다.   1. 해결방법키보드의 Windows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띄우고, taskmgr 을 입력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① 자세히 클릭② vmware-vmx.exe 클릭③ 작업 끝내기 클릭   ① vmware.exe 클릭② 작업 끝내기 클릭    VMWare 을 다시 실행 후 종료된 가상 머신을 재실행하면 정상 부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inux] RedHat Enterprise Linux 부팅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들기
·
■ Linux/Linux Tip.
0. 개요rufus 를 이용하여 USB로 부팅 가능한 RedHat Enterprise Linux (이하 RHEL) 디스크를 만들어 보도록 한다. ※ rufus? : USB를 포맷하거나, ISO를 통해 부팅 가능한 USB 디스크를 만들어주는 툴    1. rufus 다운로드 Rufus - 간편한 방법으로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만들기Rufus는 USB 키/펜드라이브,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부팅 가능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틸리티입니다. Rufus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rufus.ie▲ rufus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 rufus 를 내려받기 위해 상기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한다.   스크롤을 하단으로 내려, rufus 포터블 버전을..
[PDF] Adobe Acrobat Reader 손 도구 레지스트리 설정을 통한 고정 설정
·
■ Document/PDF
0. 개요회사에서 PDF 파일을 열람하고 사용할 일이 매우 잦아 Adobe Acrobat Reader 을 매우 잘 활용하고 있다. 다만 PDF 문서를 하루종일 보고 있을 때면, 손 도구 기능의 사용이 매우 편리한데 Adobe Acrobat Reader 에서 어떠한 설정을 해도 손 도구 설정이 고정되지 않았다.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해 이를 해결해 보도록 한다.   1. 참고본 문서는 아래의 기준으로 작성되었다.구분버전Adobe Acrobat Reader2024.003.20180 64-bit Ver.OSWindows 10 22H2 64-bit※ 최신 아크로뱃 리더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설정은 유사하다.   2. 조치키보드의 Windows + R 키를 눌러 실행 화면을 띄우고, regedit 를 입력해 레지스트..
[Linux] Wine의 C드라이브 경로 구조 파악 및 경로 확인
·
■ Linux/Linux Tip.
0. 개요Wine 설치 후, Wine이 사용하는 C:\ 경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기본 구조$ winecfg상기 명령어를 입력하여 Wine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   아래의 과정을 거쳐 C:\ 경로를 확인한다. 드라이브 클릭C: 드라이브 경로: ../drive_c를 확인../drive_c를 해석해보면 아래와 같다...현재 경로보다 한 단계 위 상위 경로/drive_cWine의 기본 C드라이브 경로   Wine의 파일 시스템 구조에서 기본적으로 .wine (숨김 폴더) 경로 내부에 drive_c 경로가 위치하고 있다. 이를 ..를 통해 한 단계 위 상위 경로로 이동하여 drive_c를 참조한다.   2. 상세 구조그렇다면 숨김 폴더인 .wine은 대체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 Win..
[Linux] Ubuntu 22.04.4LTS에 Wine설치 후 기본 설정하기
·
■ Linux/Linux Tip.
0. 개요Linux에서 Windows용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 및 설치하기 위한 Wine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Wine을 이용하면 Linux환경에서 사용이 제한되었던 Windows용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구동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Linux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1. 환경본 포스트에서 Wine을 설치한 환경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자.구분값OSUbuntu 22.04.4LTS 64-bit   2. 설치$ sudo dpkg --add-architecture i386Ubuntu환경이 64-bit 일 경우, 상기 명령어를 통해 32-bit 아키텍처 사용을 활성화해야 한다. ▼ Ubuntu 32-bit / 64-bit 여부 확인 명령어더보기$ getconf LONG_BIT32 : 32..
[Linux] Ubuntu 『실패: name resolution에서 일시적인 실패.』 오류 해결
·
■ Error/Linux 오류해결
0. 개요LINUX에서 wget 명령어를 통해 WINE 저장소에서 관련 정보를 내려받으려고 시도했으나, 터미널에서 실패: name resolution에서 일시적인 실패. 에러가 출력되며 작동하지 않는다. 해당 오류를 해결 해 보도록 한다.   1. 원인DNS 네임서버 오류DNS 네임서버를 찾지 못하거나 설정이 잘못되어 발생하는 오류로, resolv.conf 파일에서 네임서버만 설정해 주면 간단하게 해결되는 오류이다.   2. 해결$ su root암호 : #사용자 계정 → root 계정으로 전환한다.   # vim /etc/resolv.confvim 편집기를 이용하여 resolv.conf 파일을 편집한다.   resolv.conf 파일 최하단에 상기와 같이 본인에게 맞는 DNS 네임서버를 추가한다.  ▣ ..
[Linux] Ubuntu su 인증실패 원인과 해결방법
·
■ Error/Linux 오류해결
0. 개요Ubuntu 터미널에서 su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 계정으로 전환하고자 하였으나, 터미널에서 su: 인증 실패 문구가 출력되며 root 계정으로 전환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해당 현상의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원인초기 설치 후 root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한다. su 명령어를 통해 root 계정으로 전환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설정된 비밀번호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인증 실패 오류이다. 해결 방법은 간단하다. root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해 주면 된다.   2. 조치$ sudo passwd root새 암호:새 암호 재입력:passwd: 암호를 성공적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sudo passwd root 명령어를 입력하여, root 사용자..